일단 신형은아니고 2003년도 정도 되는 것일 겁니다.
4500cc V8 MPi 엔진.
대부분의 분들이 배기량만 가지고 제로백이 얼마고 최고속이 얼마고 하시는데,
저는 보다 재미없는 기본적인 시승기를 적으려고 합니다.
일단 렌트카로 다이너스티,오피러스,에쿠스를 가지고 고민을 많이했습니다.
아무래도 부모님을 모시고 다니기에는 그래도 뒷자석이 넓은것이 좋을 것 같아
에쿠스 리무진을 선택했던 것입니다.
예약은 3500cc 리무진으로 했습니다만, 무슨 전상상의 착오였는지 인도된 차를 한참
몰고 다니다보니 의외로 힘이 딸리는 느낌이 안나서 보니 4500cc더군요.
그래서 의도치 않게 4500cc 리무진을 몰고다니게 되었습니다.
일단 처음 타보고난뒤의 느낌은, 이차는 뭔가 언밸런스한 차라는 것입니다.
제일 첫번째가 가속알고리즘입니다. 오너드라이브의 XG에서 느꼈던 적극적인
가속이 쇼퍼드리븐인 이차에서 나타나더군요. 국내 최고급차인 에쿠스리무진에
맞지않는 촐랑대는 듯한 가속. 물위를 미끄러지듯이 흘러가는 느낌과는 정반대의
상당히 불쾌한 가속감이었습니다.
문제가 초기 가속뿐만아니라 가속후 약간 릴리스를 해줄때 어김없이 다가오는
끄떡거림... 예전 베타엔진에서 느낄수있었던 응답위주의 엔진 특성이 느껴지더군요.
게다가 주행시에는 딱딱한 서스펜션이 상당히 부담스러웠습니다.
두번째가 실내공간의 협소.... 저는 계속 운전석에 있었기 때문에 뒷자석이 얼마나
편한지는 모르겠습니다. 편하다고 하니까 편한줄 알겠는데, 앞자리는 상당히 좁게
느껴지더군요.
- 높은 대시보드와, A필러의 두꺼움, 그리고 닫아도 느껴지는 문짝의 두꺼움.
그리고 리무진 기종의 두꺼운 B필러는 어쩔수 없지만, 우회전시에 사각으로
커버되는 부담이 상당히 큽니다.
세번째는 엄청난 무게와 배기량에 걸맞지않는 브레이크 성능.
실제로 부모님때문에 속도를 못내봤지만, 약간 속도를 내거나 내리막길에서
밟아도 왠지 안설것 같은 브레이크 때문에 속도를 내고 싶지 않았습니다.
가속성능은 무거운 차체때문에 그다지 잘나간다고 느껴지지 않더군요.
4500cc가 XG3.0과 비슷한 가속성능으로 느껴졌으니까요.
그래도 3500cc를 빌렸다는 생각에 잘 안나가겠구나 라고 생각한거에 비하면
매우 잘나간다는 겁니다.
그래도 좋은 점도 몇가지 있습니다.
시인성좋은 수퍼비젼, 그리고 350파이 정도되는 작은 스티어링 핸들로 운전할때는
쾌적하게 몰 수 있습니다.
하지만,,..... 편도 3차선에서 유턴을 하려는데, 리무진인걸 생각해서 처음부터 꺾었는데,
한번에 못돌더군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국산최고의 프리스티지카라는 명칭에 비해 너무 터무니없는 승차감이었습니다.
그냥 오너드라이버용 차라면 수긍을 하겠습니다만....
이런걸 보면 세계 최대 배기량의 FF차라는 것이 그다지 좋은 의미가 아닌것 같습니다.
궁극적으로 승차감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왜 FR로 가야하는 것인지, 고급 FR차를 비교시승해보고
싶어지더군요.
개인적으로 느끼기에는 에쿠스보다는 다이너스티가 승차감이 더 좋은 것 같습니다.
부드러운 서스펜션과 미끄러지는 듯한 가속.... 아무래도 현대가 자체기술로 제대로된 고급차를
만드수 있으려면 좀 더 있어야되지 않을가 싶습니다.
모 일본사이트에서 혼다 레전드3.5(KA-9)에 이런 얘기가 있었습니다.
"혼다라는 회사는 고급차라는 것을 만들줄 모르는 인간들 같다.
혼다의 경영진은 토요다를 보고 배워야한다.
혼다는 마치 최고의 성능의 차가 고급차라는 생각을 하는것 같다."
아직 후륜양산기술이 없는 현대가 언제쯤 제대로된 고급차를 만들수 있을지,
2007년 발표될 BH에 기대를 걸어봐야겠지요?
기대를 많이하면 실망을 많이 하는 법인가 봅니다.
쓰다보니 두서없는 글이 되어버렸네요.
읽으시는라 수고많이 하셨습니다...
벅스바니
수정 | 삭제
리무진은 처음인데 운전하다보니 생각보다 그리 길게 느껴지지 않더군요. 그래서 좀 방심한게 아닌가 하네요.... 3일 주행중에 딱한번 유턴한것 뿐입니다.
그리고, 문짝두꺼운것은 저도 좋아합니다. 문짝 두께보다는 안쪽으로 조금 더 들어와있는 듯한 느낌이 실내가 좁아보이는 것 처럼 느껴진 것 뿐입니다. 05/05 18:54
정숙하기는한데 속도감은 느껴집니다. 제가느낀 정숙성이라고하면 풍절음이 잘 안들리는 것이지만, 렌트차량이라서 그런지 엔진 노이즈가 실내에 좀 유입이 되었습니다. 속도감 보다는 워낙 차가 잘나가는데다 브레이크가 블안해서 조금 긴장 되더군요. 안정감보다는 속도가 많이 느껴집니다. 특히 무게감... 아무래도 브레이크 때문일까요. 05/05 19:01
벅스바니
수정 | 삭제
답글 참고바람.
1. 의외로 차가 튀어나가는 느낌이라는 뜻, 뒷자리에서 모실때 등에는 좀 부드럽게 나갔으면 한다는 뜻임
2. 넓고 좁다는 것은 개인의 취향이거나 구조적인 문제일수 있슴.
아파트를 예로들자면 같은 전용면적이라고 하더라도 구조에 따라 좁아보이는 아파트도 있다는 의미임.
3. 브레이크가 크게 문제됨.
유턴은 경험담이지 딴지거는 얘기 아님.
전륜? 전륜이 왜 등장했는지 공부좀 더하고 오기바람.
그리고 아우디 A8 FF는 전차종에 해당하는 것이 아님. 일부차종임/
좀더 공부하고 오기바람. 아우디 A8 엔진은 기본적으로 세로형엔진임.
아우디의 주된 구동기술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바람.
체어맨 리무진을 렌트하고 싶었으나 리무진이 없었슴.
무엇보다 뒷자석을 편하게 모시려고 했다고 적었으니 어떤 차를 원했는 지는 알것임.
간간히 비속어 섞어가며 깎아내리는 말투가 다 보임.
다음부터 예의부터 갖추고 오기바람. 05/05 18:47
소올메이트
벅스바니님... 안녕하세요..
현제 저의집에 에쿠스를 소유하고있고 가끔타는사람으로서 몇자 적어볼까 합니다.
고배기량에 토크가 어느정도 있다보니 첨운전하신분들이 좀 놀래하십니다.
무게가 많이나가는것에 비해서 차량이 가뿐하게 나가는편이거든요..
일반 소형차 오토모는생각으로 악셀밟으면 생각보다 튀어나갈수있다는 생각을
할수도있습니다..저도 그랬거든요..^^
D레인지에 놓고 크립현상이 일어나면 살며시 발만 올려놓아도 부드럽게
움직입니다... 그건 차량마다의 특성이므로 님이 에쿠스의 악셀링의 느낌을
처음 느껴보신거라 생각되어집니다..
그리고 내부크기를 말씀하셨는데 그정도면 넓은편이에여 ^^
브레이크밀리는건 솔직히 모르겠습니다..저희도 신형이라서요..
그리고 아우디 애기가 나오셨는데 사륜을 기반으로한 전륜을 고집하는 회사죠..
근데 거기서 엔진배치애기는 아닌것같습니다.. 그건 무게배분의 따른것이지
승차감이나 후륜의특성과는 비유가 잘안맞는말같아서요..
그리고 Enrichin 님은 아는것은 많은것같은데 인간이 들되었습니다..
인터넷상에서의 글씨는 그사람의 인격이라 하였거든요..
그리고 제가 느껴본바로는 에쿠스정도의차량이면 너무 많이 보여서 그렇지
쉽게볼차는 아닌듯해요..
예전에 웹진에서 렉서스LS430 구형bmw740 벤츠 에쿠스450과 서킷에서
비교테스트를 한적이 있었거든요.. 에쿠스 초기에 나왔을시점에요..
그때 제로백과 급코너링.. 최고속. 엔진음..진동. 내장제 옵션등을 통합해서
점수를 주는... 우리나라의차가 얼마나 발전했는가를 실험해보는 자리에
아는지인과 함께 그곳을 가서 구경했습니다..
4-5년전의 일인듯합니다만 그때 그분께서 하시는말씀이 우리나라자동차 기술이
정말 많이 발전했다고 외국분들도 그때와서 박수치고 그랬거든요..
그러나 이젠 신형까지나왔는데 외국기술을 따라가기엔 아직멀긴했지만
그리 큰차이가 아니라는걸 말씀드리고 싶구요..
그정도무게이면 벤츠나 비엠처럼.. 좀 딱딱한 서스팬션이 적용해야하는데
국내도로여건상이나 구매자의수요층을 볼때 부드럽게 세팅할수밖에 없습니다.
국내에서 지형하는건 조용함과 부드러움이 아직까진 먹히고 있으니
어쩔수없는거죠.. 만약 유럽차처럼 쇼바세팅해서 나왔다면 정말 최악의
승차감이 나왔을듯합니다... 그리고 에쿠스보다 좋은 승차감의 차량은
아직못타봤습니다.. 수입차제외구요.. 제 생각을 적어봤습니다..
주관적인글이지만 자주 타기때문에 주윗분들과 친구들의 말로 통합해서
객관적으로 적어봤습니다... 05/05 22:32
벅스바니
수정 | 삭제
소울메이트님 감사합니다.
말씀대로 처음모는 사람은 가속이나 초기상태에서 발진시 엑셀에 신경 많이 써줘야되겠더군요. 오토에 비해 상당히 빠른 응답이었습니다.
어느정도 몰고나서니 그게 좀 익숙해지더군요. 하지만 무의식적으로 밟게 되는것은 어쩔수 없더군요.
앞서 글에서도 올렸지만, 운전사 노릇하다보니 뒤에 탄 사람이 크게 의식되더군요.
단지 그것때문에 엑셀특성에 대해 설명한 것일 뿐입니다.
그리고 통상 세로배치가 되면 후륜이 되는 것은 아실것입니다.
단일차종으로 세로배치로 전륜만을 만든차는 혼다레전드 정도인 것으로 알고있고요.
(그뒤로 혼다도 무게배분이라는 무리수를 두면서 세로배치하는 것은 더이상 포기하더군요. 아무래도 후륜으로 보낼 필요도 없는 부품을 넣는 것과 전륜 구동을 위해 일부러 워엄기어 등으로 구동각을 90도 꺾으면서까지 구동효율을 떨어뜨릴 필요가 없었을 겁니다. 게다가 SH-AWD등의 기술의 발전이 무게배분을 어느정도 커버할수있도록 한게 아닌가 합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아우디는 후륜을 중시한 엔진배치의 사륜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전륜 모델이 나온것은 이 나온것은 기본 사륜베이스에 후륜 센터 LSD, 버터플라이샤프트와 트랜스액슬을 제거한 채 나오는 마이너스 옵션 정도로 설계체계를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 합리화가 된다는 것입니다.
때문에 FF를 단지 무게배분만으로 엔진을 세로배치를 둔다는 것은 양산차에서는 좀 힘들것 같습니다.
그리고 서스펜션에 대해서는 저로서도 확실하게 설명드릴 입장은 아니었던것 같습니다.
고속이나 가속도 어느정도 몰아본것도 아니고 코너도 적극적으로 진입해본적도 없었습니다. 그냥 일반 주행시 통통 튀는 부분이 조금 있었다는 것이지요.
그리고 전체 실내 크기보다는 운전석 넓이를 의미한건데요, 상당히 주관적으로 느낀 부분이므로 그러려니 해주세요...
솔직히 집에 있는 차 중에 하나가 아카디아라서 엑셀특성은 이것과 비교를 했습니다.
90년에 발매시작한 차 치고는 가속 알고리즘이 다양합니다. 여기에 익숙해져있어서 그런것 같습니다.(미국에서 어큐라 레전드 발매당시 물위를 미끄러지는 듯한 주행감을 표방했다지요?)
마지막으로 전,후륜에 대한 얘기는 토요다를 보면 가장 단적으로 나오는 것 같습니다.
물론 요즘은 거의 모든차들이 FF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주행안정성,실내,생산효율설을 생각하자면 FF로 갈수 밖에 없기 때문이지요. 렉서스 차종에서 오너드라이브 성향의 ES만 전륜인것을 보시면 어느정도 이해가 되실것입니다. 물론 가로배치엔진입니다.(통상 세로배치로 두면 앞좌석 레그룸이 많이 줄어들지요)
스포츠성향이 있는 GS나IS와 쇼퍼드리븐 개념의 LS들은 후륜으로 갔죠.
뒷좌석 편안함을 위해서 전륜인지 후륜인지는 논의의여지가 많은것 같으므로 더이상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05/06 7:49
벅스바니
수정 | 삭제
제가 말씀드리려던것은 쇼퍼드리븐의 리무진입니다.
만일 오너드라이브 용도였다면 브레이크 빼고는 성능에서는 더 말할 나위는 없을 것 같습니다.
물론 실내가 좁다는 것은 개인적인 관점이거나 익숙하기 나름이므로 문제삼지 않아주셨으면합니다.
XG같은 경우 처음타봤을때 운전석이 굉장히 넓어보였습니다. 낮은대시보드와 넓은 시야가 그렇게 보인것 같습니다.
그리고 즉각즉각 반응하는 미션은 여태껏의 자동 같지 않은 느낌이었죠.
그야말로 오너 운전자를 배려한 세심한 고려였지요.
그때는 현대도 이제 차를 제대로 만드는구나라고 생각했더랬습니다.
하지만 에쿠스리무진은 다릅니다. 물론 리무진을 오너드라이브용으로 타고다니는 사람도 있을지모르겠지만, 보통 운전사를 두고타는 차이지요.
저가 이런 관점에서의 불만을 적은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솔직히 3일내내 운전하면서 뒤에 타신 부모님이 신경쓰이더군요.
아무래도 저는 기사노릇은 못할 것 같습니다.
때문에 에쿠스 전체에 대한 성능이나 품질에 대해서 나쁘다는 것이 아니라,
오너드라이브(Owner-drive)와 쇼퍼드리븐(Chauffeur-driven)의 추구하는 바가
다르다는 것을 설명하고 싶었습니다.
(숏바디를 오너용으로만 고려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문제는 자신의 사용용도입니다.)
어느차를 몰던 내가 운전자가 되겠지만, 상황에 따라 다르게 운전해야하는 것과 비슷한 의미겠지요.
그리고 에쿠스 전체가 문제다라는 것은 아닙니다. 적어도 제가 생각하기에는 리무진은 뒷좌석을 고려할때 제가 추구하는 바와 뭔가 다르다는 것입니다. 05/06 18:08
실제로 아카디아 보다 좁다고 느꼈던 부분. 왼쪽어깨와 머리부분이 별로 여유가 없어보입니다.
옆자리와의 간격을 벌리기위해 문쪽으로 의자를 붙힌건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수퍼비젼 계기판. 핸들링도 매우 쉽습니다.
제주도 비자림에서 오는길...
'시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GH-GDB 임프레자 구입하기전에 간단한 도움글 (0) | 2007.01.19 |
---|---|
[정보] 독일 자동차 메이커의 창립자와 발전사 (0) | 2007.01.02 |
[포르쉐] 박스터 S 조수석 시승기 (0) | 2006.11.13 |
[펀글] 현대 자동차 전자제어 엔진의 출력요소 (0) | 2006.08.18 |
[펀글] 한국시장과 일본차 업체(3):혼다-아큐라(1) | ▣ⓒⓐⓡ 정보▣ (0) | 2006.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