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YOSUNG GF125 | ||
|---|---|---|
![]() | ||
| HONDA VTR | HONDA HORNET | HONDA HORNET600 |
![]() | ![]() | ![]() |
| DUCATI MONSTER600 | DUCATI MONSTER750 | DUCATI MONSTER900 |
![]() | ![]() | ![]() |
| 모델명 | GF125 | VTR | HORNET | HORNET 600 | MONSTER 600 | MONSTER 750 | MONSTER 900 | |
|---|---|---|---|---|---|---|---|---|
| 제조사 | HYOSUNG | HONDA | HONDA | HONDA | DUCATI | DUCATI | DUCATI | |
| 발매개시년 가격 | '98.8 1,390,000원 | '98.1 459,000엔 | '96.2 505,000엔 | '98.3 629,000엔 | '-- US $, | '98 US $7,695 | '98 US $9,995 | |
| 형식 | - | MC33 | MC31 | PC34 | - | - | - | |
| 전장 (mm) | 1,965 | 2,040 | 2,045 | 2,040 | 2,070 | ← | 2,080 | |
| 전폭 (mm) | 755 | 720 | 740 | ← | 800 | ← | ← | |
| 전고 (mm) | 1,095 | 1,050 | 1,055 | ← | 1,030 | ← | ← | |
| 축거 (mm) | 1,410 | 1,410 | 1,415 | 1,430 | 1,430 | ← | ← | |
| 최저지상고 (mm) | 200 | 170 | 170 | 135 | 150 | ← | ← | |
| 시트고 (mm) | - | 780 | 760 | 790 | 770 | ← | ← | |
| 차량중량 (kg) | - | 153 | 166 | 195 | - | - | - | |
| 건조중량 (kg) | 112 | 139 | 149 | 176 | 174 | 178 | 185 | |
| 승차정원 (인) | 2 | 2 | 2 | ← | 2 | ← | ← | |
| 연류소비율 (km/L) (정지주행테스트 속도 60km/L) | - | 40.0 | 32.0 | 30.2 | --.- | --.- | --.- | |
| 제동정지거리 (m) (속도 50km/h) | - | - | - | - | - | - | - | |
| 최소회전반경 (m) | - | 2.7 | 2.6 | ← | - | - | - | |
| 엔진 형식 | - | MC15E | MC14E | PC25E | - | - | - | |
| 엔진 종류 | 공냉 4사이클 SOHC 4밸브,단기통 | 수냉 4사이클 DOHC 4밸브,V형 2기통 | 수냉 4사이클 DOHC 4밸브,4기통 | ← | 공냉 2 Valve Twin Cylinder 90°engine | ← | ← | |
| 총 배기량 (cm3) | 124.5 | 249 | ← | 599 | 583 | 748 | 904 | |
| 내경×행정 (mm ) | --.- ×--.- | 60.0 ×44.1 | 48.5 ×33.8 | 65.0 ×45.2 | --.- ×58.0 | 88.0 ×61.5 | 92.0 ×68.0 | |
| 압축비 | --.- | 11.0 | 11.5 | 12.0 | 10.5 | 9.0 | 9.2 | |
| 압축압력 (kg/cm2) | - | - | - | - | - | - | - | |
| 최고출력 (PS/rpm) | 11.8 / 8,500 | 32 / 10,500 | 40 / 13,000 | 69 / 11,500 | 51 / 8,000 | 62 / 8,000 | 71 / 7,000 | |
| 최대토크 (kg-m/rpm) | 1.05 / 7,500 | 2.4 / 8,500 | 2.4 / 11,000 | 5.3 / 7,500 | 5.1 / 6,000 | 6.3 / 6,500 | 7.5 / 6,500 | |
| 기화기 형식 | 피스톤 밸브 타입 24 | VD10 | VP03 | VP49 | - | - | - | |
| 시동 방식 | 킥/셀프식 | 셀프식 | ← | ← | 셀프식 | ← | ← | |
| 점화장치 형식 | 풀 트랜지스터식 배터리점화 | 풀 트랜지스터식 배터리점화 | ← | ← | Electronic Inductive Discharge | ← | ← | |
| 윤활 방식 | 압송 병용 윤활식 | 압송 병용 윤활식 | ← | ← | - | 기어펌프에 의한 강제순환식, 오일쿨러 | ← | |
| 윤활유 용량 (L) | - | 2.4 | 2.7 | 4.2 | - | - | - | |
| 연료탱크 용량/리저브 (L) | 13.7 | 13.0 | 16.0 | ← | 16.0 / 3.0 | 16.5 / 3.5 | 16.0 / 3.0 | |
| 클러치형식 | 습식다판 | 습식다판 코일-스프링 | ← | ← | - | 습식다판 유압제어 | 건식다판 유압제어 | |
| 변속기형식 | 5단 리턴 | 상시치합식 5단 리턴 | 상시치합식 6단 리턴 | ← | 5단계 | ← | 6단계 | |
| 변속비 | 1속 | - | 2.733 | ← | 2.928 | 40/16 | ← | 37/15 |
| 2속 | - | 1.800 | 2.000 | 2.062 | 36/21 | ← | 30/17 | |
| 3속 | - | 1.375 | 1.590 | 1.647 | 32/24 | ← | 28/20 | |
| 4속 | - | 1.111 | 1.318 | 1.368 | 29/27 | ← | 26/22 | |
| 5속 | - | 0.965 | 1.111 | 1.200 | 28/29 | ← | 24/23 | |
| 6속 | - | - | 0.965 | 1.086 | - | - | 23/24 | |
| 제1감속비 | - | 2.928 | 3.214 | 2.666 | 46/15 | 41/15 | 38/15 | |
| 기관-변속기 감속비 | - | 2.821 | 2.966 | 1.863 | 61/33 | ← | 59/32 | |
| 캐스터/트레일 | - | 25°30" | 25°40" | ← | 23°00"/94 | ← | ←/104 | |
| 타이어 | 전륜 | 2.73 x 18 4PR | 110/70-17 54H | 130/70-ZR16 (radial) | 130/70-ZR17 61W | 120/60-VR17 | 120/60-ZR17 | 120/60-VR17 |
| 후륜 | 3.00 x 18 4PR | 140/70-17 66H | 180/55-ZR17 (radial) | 180/55-ZR17 73W | 160/60-VR17 | 160/60-ZR17 | 170/60-VR17 | |
| 브레이크 형식 | 전륜 | 유압식 디스크 | 유압식 디스크 | ← | 유압식 더블디스크 | 유압식 디스크 | ← | 유압식 더블디스크 |
| 후륜 | 내부확장드럼식 | 유압식 디스크 | ← | ← | 유압식 디스크 | ← | ← | |
| 현가 방식 | 전륜 | 텔레스코픽식 | 텔레스코픽식 | ← | ← | 도립식 텔레스코픽식 | ← | ← |
| 후륜 | 스윙암식 | 스윙암식 | ← | ← | 스윙암식 | ← | ← | |
| 프레임 형식 | 철제4각박스 크레이들 | 다이아몬드 | ← | ← | Trestle type constructed of chrome moly steel alloy tubes | ← | Tubular moly steel trestle | |
| 비고 | 적색/은색 | 체인형식: DID520VL2 최고속: 175km/h | 체인형식: DID520VL2 최고속: 190km/h | 체인형식: DID520VL4 최고속: 210km/h | ||||
'네이플' 카테고리의 다른 글
| Honda ''00 New HORNET (0) | 2006.08.18 |
|---|---|
| 스즈키 밴디트 한정 V (0) | 2006.08.18 |
| CB1000 Rival Spec (0) | 2006.08.18 |
| CB750 Rival Spec (0) | 2006.08.18 |
| CB400SF Rival Spec. (400cc) (0) | 2006.08.18 |

![- 감아서 즐거운 숙성의 수냉 90도 V-TWIN -
크랭크케이스후부에스윙암을 직접마운트한 파이어스톰대물림의 트러스레이아웃-피봇리스프레임이 특징. 파워유닛은 구 젤비스를 베이스로한 전통의 수냉 90도V트윈으로, 밸브타이밍 및 머플러, 점화특성등을 변경한것으로, 상용역에 있어서 가속필링과 막셀리스폰스를 향상시켰다.
[모델체인지MEMO].
82년6월데뷰한 V250이 루트. 그뒤 모델체인지를 계속하여, 네이키드타입의 VTZ250도 라인업. 88년12월에는양산처음의 알미늄철제프레임을 채용한 VT250스파다를 추가. 91년10월에는 출력을 36PS로 떨어뜨려, 큰덩치의 강관제 프레임을 채용한 젤비스로 일원화되었다.](http://marblea.com.ne.kr/Images/tn_vtr.jpg)
![- 적색 힐가드가 최신형의 특징 -
CBR900RR과 동사이즈의 와이드래디얼과, 닛신4포트캘리퍼를 장비한 충실한 발주변이 특징. 엔진은 CBR250RR이 베이스로, 피크회전수를 낮춰 중저속역의 흡기를 증대하였다. 최신의 99년모델은 적색의 힐가드가특징으로, 칼라링도 흑색휠+실버바디와 백색휠+블루바디의 2색으로 통합되었다.
[모델체인지MEMO].
호넷의 데뷰는 1996년2월. 동년7월에 흑색휠과 바디동색F펜더를 장비한 스페셜에디션이2000대한정으로 시판되어, 97년2월에 블랙엔진과 스텐레스제이그조스트파이프, 환형멕기미러, 보디동색F펜더, 흑색힐가드를 채용하여 퀄리티업되었다.](http://marblea.com.ne.kr/Images/tn_hornet.jpg)








